본문 바로가기

중국 젊은이들의 어려운 현실 자조섞인 유행어 内卷

아시겠죠? 발행일 : 2024-11-19

"内卷(nèi juǎn)"은 최근 몇 년간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행어 중 하나입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 중국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1. "内卷(nèi juǎn)"의 의미

"内卷"은 직역하면 "안으로 말린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실제 의미는 "과도한 경쟁" 또는 "불필요한 경쟁"을 뜻합니다. 특히 노력에 비해 성과가 미미한 상황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예문

1. 这个行业太内卷了,工资一直在降低。
(Zhège hángyè tài nèijuǎn le, gōngzī yìzhí zài jiàngdī.)
이 업계는 너무 내卷이야, 임금이 계속 낮아지고 있어.

2. 为了应对内卷,我不得不每天加班到很晚。
(Wèile yìngduì nèijuǎn, wǒ bùdébù měitiān jiābān dào hěn wǎn.)
内卷 에 대응하기 위해 나는 매일 밤늦게까지 야근을 할 수밖에 없어.

3. "内卷"의 유래와 확산

"内卷(nèi juǎn)"이라는 용어는 원래 서양 학계에서 사용되던 "involution"이라는 개념의 중국어 번역입니다. 이 개념은 1960년대 미국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가 농업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중국에서 유행하는 "内卷"의 의미는 원래의 학술적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2020년 무렵부터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빠르게 유행어가 되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内卷"은 과도한 경쟁 상황을 표현하는 말로, 많은 노력을 들이지만 그에 비해 얻는 것이 적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특히 학업이나 직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즉, 원래의 학술 용어에서 출발했지만, 중국 사회에서 새로운 의미로 재해석되어 유행하게 된 것입니다.

4. "内卷"이 반영하는 중국 사회 현실

1. 취업난: 대학 졸업생 수는 매년 증가하지만,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어 경쟁이 치열합니다.

2. 학업 스트레스: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한 경쟁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3. 직장 문화: '996'(오전 9시 출근, 오후 9시 퇴근, 주 6일 근무) 문화로 대표되는 과도한 노동이 만연합니다.

4. 소비 압박: SNS의 발달로 타인의 삶과 끊임없이 비교하게 되면서 불필요한 소비 경쟁이 일어납니다.

5. "内卷"에 대한 중국 젊은이들의 반응

1. 자조와 풍자: "내가 열심히 하면 할수록, 모두가 더 열심히 해야 해"라는 식의 자조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됩니다.

2. 탈출 시도: "躺平(tǎng píng, 누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기)"이라는 또 다른 유행어가 등장했는데, 이는 과도한 경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의미합니다.

3. 사회 비판: 일부 젊은이들은 "内卷"을 통해 현재의 사회 시스템과 가치관에 대한 비판을 표현합니다.

6. "内卷"관련 파생 어휘

1. 卷王(juàn wáng): 과도하게 열심히 하는 사람을 비꼬는 표현

2. 反卷(fǎn juǎn): 과도한 경쟁을 거부하는 행위

3. 躺平(tǎng píng): 경쟁을 포기하고 최소한의 삶을 사는 것

7. "内卷"현상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응

중국 정부는 "内卷" 현상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교육 개혁, 노동시간 규제 강화 등의 정책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마무리

"内卷"이라는 단어 하나로 현대 중국 사회의 복잡한 단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용어는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중국어를 공부하는 우리에게 "内卷"은 언어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